위플래쉬를 보고

위로 2015. 4. 5. 21:07

  저번에 왕가위 감독이 극장에서 누구와 봤는지, 함께 영화 본 후 뭘 했는지 까지가 한 영화의 완성이라고 하는 인터뷰를 봤다.

  왕가위 말대로 라면 이 영화는 나에게 엄청 나쁜 끝을 선사한 영화가 될 것이다. 영화가 끝난 후 잘 되간다고 믿었던 남자에게 팽 당했으니 말이다.

  하지만 영화 자체는 괜찮았다. 평론가들이 말하는 것 만큼 최고다. 정도는 아니었지만.

  기회가 왔을 때 준비가 되어 있으면 바로 기회를 잡을 수 있지만, 그런 때일 수록 작은 실수를 조심하고 신중해야 한다는 것. 지나친 자기 파괴적 열정과 집착은 나도 망치고 주변 사람도 망친 다는 것. 큰 열망을 품지 않고 현실과 타협하며 살아가는 삶이 과연 그렇지 않은 삶보다 못하다고 볼 것인가에 대한 질문 등 느끼는 바가 많았다.

  인상깊게 본 장면이 많다. 천장에 카메라를 놓고 찍은 연주 장면들과 플랫처와 앤드류가 기싸움 할때 플랫처와 앤드류 사이를 빠르게 오가는 카메라의 움직임, 앤드류의 여자친구가 고향을 그리워 하며 사람들이 아무렇지도 않은 척 하는게 싫다고 말하는 장면, (개인적 경험도 있어서 울 뻔했다)  마지막에 플랫처 교수가 "내가 핫바지로 보이냐?" 고 말하는 장면에서 충격과 공포와 그에 대한 앤드류의 멋진 대처도 좋았고, 앤드류가 자동차 사고 날 때는 너무 현실적이라서 극장에서 소리 지를 뻔 했다.

  앤드류가 정말 일반 음대생 같이 위화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정말 이렇게 평범하게 생긴 헐리우드 배우도 없을거다. 악마같은 플랫처 교수를 맡은 J.K 시몬즈도 적역이다.

  감독이 85년생이라고 한다. 세상에 참 대단한 사람이 참 많다. 나보다 2살 어린데, 이런 영화를 만들었다니. 대단하다. 제목이 채찍 이라는 뜻인데, 정말 딱 맞는 내용이다. 호된 채찍을 맞아가며 최고가 됐다면 아무래도 상관 없는 것일까? 난 아닌 것 같다. 최고가 되서 이름은 남기겠지만 한번 사는 인생 평생 불행하게 살았다면 무슨 소용이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