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타카 최고.

위로 2010. 2. 23. 17:1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 연휴 때 무리하게 일을 벌이다가 크게 아팠다. 원래 난 소화기능 하나는 끝내주는데 회사 오면서 자꾸 체한다. 늙어서 그런가.
토요일에도 일어나자마자 체해서 하루 종일 입맛이 없어서 설사와 포카리 스웨트 마시는 것만 반복하다가 한의원 가서 침맞고 뜸을 떴다. (그러보면 난 참 한의원 좋아한다)
그리고 한 숨 잤는지 어쨌는지 밤 1시가 되도 잠이 안오는 거다.
갑자기 모노노케 히메를 다시 보고 싶어서 다운받아 봤다.
이 애니메이션 역시 고등학교 때 저질 화면으로 봤는데 이번에 좀 커서 보니까 저번 나우시카 때 처럼 느낌이 달랐다.
중학교 3학년 때 앞에 있던 문구점에서 모노노케 히메 엽서 많이 팔았는데... (한참 정말로 유행이던 에반게리온과 함께)

이제까지의 지브리표 애니메이션들과는 다르게 머리가 잘리고 팔이 잘리는 등의 잔인한 장면도 많고, 특히 재앙신으로 변한 멧돼지는 극장에서 봤으면 토가 나오지 않았을까 할 정도로 혐오스럽기 까지 하다. 그런데 그 재앙신 이라는 이름에는 딱 걸맞는다. 중학교 때 같이 집에 가던 친구가 모노노케 히메 이야기 하며 징그러워 혼났다고 했던 게 새록새록 떠오르며 그리웠다.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에 정식 개봉 했는데 난 그때 극장 가서 안보고 뭐한걸까. 이걸 극장에서 안보다니.

모노노케 히메는 이제까지 미야자키 하야오가 말해왔던 주제 그대로의 내용이다. 이 애니메이션의 스토리가 잘만들었다는 증거는 이 애니메이션에서는 자연과 인간의 대립이라는 구도에서 헐리우드 영화에서 곧잘 보여주는 파괴하려는 인간 = 악 VS 지키려는 인간 = 선 이라는 극단적인 구도가 아니라는 것이다. 모노노케 히메나 사슴신 에게는 절대 악이라고 볼 수 있는 에보시도 어떻게 보면 그 마을 사람들에게는 철을 만들어 일할 수 있게 해주고, 풍요롭게 살 수 있게 해주는 그 들 입장에서는 은인같은 사람이니까. 그런 면에서는 난 에보시도 참 좋다. 에보시만큼 강하고, 자주적인 여자 캐릭터가 어디 애니메이션에서 보기 흔하던가.
어떻게 보면 나우시카에서 나오는 인물이 다시 재등장 한다고 볼 수 있는데 나우시카에서는 나우시카 자체가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도모하는 인물이었다면, 모노노케 히메에서는 아시타카 가 그 역할을 하고 있다. 모노노케 히메는 끝내 인간을 용서하지 못하는 인물이지만, 아시타카는 에보시의 편도 모노노케 히메의 편도 아닌 그 둘의 화해자적 입장에서 극의 시작 부터 끝까지 그 중심을 잃지 않는다.

그리고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이 애니메이션에서는 역대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 주인공 중 최고의 미남 미녀가 등장한다.
저번에 이 블로그에도 썼지만 (참조 :2008년 1월 17일 포스팅 ) 난 아시타카 가 참 좋다. ;;; 뭐 요즘 케이블 같은 데서는 변태 오타쿠들이 비웃음과 조롱의 대상이 되는 것 같지만, 솔직히 말하면 나도 아시타카 라는 인물을 처음 맞대했을 때는 가슴이 뛸 정도로 마음에 드는 캐릭터였다. 그런 의미로 사진 몇장.

012

아시타카를 좋아하는 사람 입장에서 명장면은, 모노노케 히메를 아시타카가 처음 만나는 장면, 예전 포스팅에서 나온 에보시와 모노노케 히메의 결투 후 총을 맞은 채로 모노노케 히메를 업고 가는 장면과 지쳐서 야쿠르 (아시타카가 타고 다니는 동물) 에서 떨어졌을 때 모노노케 히메가 " 왜 날 막았지." 라고 물으니 "널 헛되이 죽게 하고 싶지 않았다." 라고 말하는 장면이다. (그 뒤에 모노노케 히메가 "헛소리 지껄이지 못하게 니 목을 찔러주겠다.!" 라고 말한 후 아시타카가 "너는 아름답다." 라고 말하는 장면은 보너스)

원래 이 애니메이션을 좋아해서 집에 OST 도 가지고 있는데 주말 이후로 계속 잔상이 남아서 어제도 들었다. OST의 장점은 그건 거 같다. 음악만 들어도 그 영화를 다시 느낄 수 있는 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난 아바타를 아직도 안봤다. 별로 보고 싶은 생각이 없다. 제임스 카메론 감독 영화를 다 챙겨보지도 않고 이런말 할 자격은 없지만, 난 타이타닉이 그냥 그랬다. 결정적으로 3시간 넘는 영화를 정말로 싫어한다. ;
대신, 이번 아바타가 엄청 따라했다고 하는 바람계곡의 나우시카를 보기로 했다. 고등학교 때 스튜디오 지브리 애니메이션 중 유명한 것들은 어둠의 경로로 (그때는 어둠의 경로 밖에 없었음) 다운받아 봤지만 이 영화만은 못봤었다. 그런데 이번에 보니 그때 봤어도 이해를 잘 못했을 듯 하다.
이제까지 본 미야자키 하야오 만화의 특징의 결정판 이라고 부르고 싶다. 여자 주인공에 하늘을 나는 것에 대한 집착, 자연과 인간의 공존. 미야자키 하야오가 스토리를 다르게 계속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왔지만 항상 그 애니메이션을 관통하고 있는 주제가 이 만화 안에 다 들어 있었다. 왜 이 애니메이션을 이제서야 봤을까.
84년에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이라고 믿기 힘든 철학적인 스토리와 내용에 엄청 감동을 받아서 심지어 울기까지 했다.
아바타는 이정도로 날 감동시키지 못할 것이라 생각한다. (괜한 고집)





사용자 삽입 이미지
페넬로피 때문에 제임스 맥어보이 영화를 찾다가 개봉 당시에서부터 보고 싶었던 비커밍 제인을 봤다. 영화 보면서 솔직히 졸 뻔 했다. 전체적은 느낌은 오만과 편견이랑 좀 비슷한데 오만과 편견 보다 더 조용하다. (근데 오만과 편견에서 미스터 다아시 너무 멋있어!!! 최고!!!)
내가 영어를 잘 알았다면 더 좋은 영화가 될 뻔 했다. 제인 오스틴의 글귀가 쉴 새 없이 나오는 구절을 해석된 자막으로 보려니 좋은지 나쁜지도 잘 모르겠고 뭐...;;
톰 르프로이와 제인 오스틴이 사랑에 빠지는 걸 보면서는 좀 의아했다. 서로 별로 안 좋아하다가 갑자기 키스를 하길래 "아니 도대체 왜??" 이러면서 이해할 수 없었다. 이런 면에서 보면 오만과 편견이 역시 더 잘된 영화라는 생각도 들고.
톰과 제인이 도저히 안되겠다고 생각하여 같이 도망가자고 한 그 이후 부터 정신이 번쩍 들었다.
이제 톰만 바라보면서 살겠다고 결심한 제인은 중간에 마차가 고장나서 고치는 동안 톰의 짐에 있는 집에서 온 편지를 보게된다. 거기에는 줄줄이 딸린 동생들이 니가 벌어준 돈으로 그나마 버티고 있다는 엄마의 편지 (내가 요약했지만 편지내용 참 저렴하게 요약했다)를 읽고, 톰이 자신을 위해서 가족들을 다 버린다면 아무리 둘이 함께 해도 행복할 수 없다며 중간에 톰의 곁을 떠난다.
이 장면에서 톰과 처음에 마차를 타고 가면서 보이는 앤 헤서웨이의 표정과 가족을 다 버리고 온 것이라는 걸 알게 된 후에 죄책감에 시달리는 표정이 대비되는 장면이 참 좋았다.
그런데 얼마나 남자를 좋아하면 그 정도로 좋아할 수 있는걸까? 내가 저 여자였으면 그냥 나랑 같이 가자고 하고 말았을 거 같은데. 편지를 봤어도 아마 모르는 척 했을 것이다. 하긴 그러니까 평범한 여자가 아닌 제인 오스틴이었겠지만.
그나저나 제인 오스틴은 평생 결혼 안하고 혼자 살았는데 톰 르프로이는 결혼해서 딸 낳고 성공해서 잘만 살았다고 나왔다. (나중에 나이들어서 서로 만나는 장면은 안 넣는게 나을 뻔 했다. 앤 헤서웨이를 아무리 늙은 것 처럼 꾸며놔도 어색했고, 제임스 맥어보이는 의외로 중년 변장이 잘 어울렸음)
영화같은 이야기지만 정말 어떤 남자를 제인 오스틴이 톰을 좋아한 거 만큼 좋아하면 평생 그리워 하면서 살 수 있지 않을까? (아닌가...) 그보다 사랑하는 사람이 안나타난다면 말이다. 아.. 근데 그런 상황은 너무 절망스러운 상황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저 벼랑위의 포뇨 글씨 미야자키 하야오가 직접 쓴 거랜다. 집이랑 포뇨 그려놓은 것 봐. 완전 귀엽네.

12 월 초에 동생이 휴가를 나왔었다. 2박3일이라 휴가라고 말하기도 뭐한데. 흐. 원래 부대앞에 엄마아빠가 데러러 갔는데 이번에는 같이 나오는 사람이 많다고 전철타고 오겠다고 하여 마중을 안나갔다. 근데 전철타고 오며서 저 포스터를 봤던 모양이다. 동생이 휴가 나왔을 당시는 아직 개봉을 안했던 때라 어둠의 경로로 봤다. 개봉하면 다시 영화관 가서 보고 싶었는데, 결국 못보고 있네. 아 스크린에서 만화를 보고 싶어.
미야자키 하야오 요즘 만화에는 항상 훈남이 한명씩 등장했는데 이번에는 5살짜리 꼬마 밖에 안나온다. 그게 아쉬운 점이라면 아쉬운 점이고 스토리는 정말 간단 명료하다.
난 하울의 움직이는 성 하늘 걷는 장면을 스크린으로 보고 솔직히 말해서 눈물을 찔끔 흘렸더랬다. 다시 말하지만 하울의 움직이는 성 원작소설은 내가 어렴풋하게 추구하는 연애에 대한 모든 것 이라고 말해도 좋을만큼 좋아하는 소설이니까. 그래서 그런가 스토리를 너무 많이 생략해서 내동생은 미야자키 하야오 작품 중에서 최고 구리다고 평가하는 하울의 움직이는 성도 진짜 좋았다.
이번 포뇨를 보고 또 느낀 건 미야자키 하야오는 자연을 아름답게 묘사하는 데 정말 특출난 재능이 있다는 거다. 무슨 히말라야나 아라비아 사막같은 거대 자연이 아니고 그냥 일본 어귀의 작은 시골 풍광도 아 자연은 정말 아름다운 것이라고 느낄만큼 표현을 잘 해내는데 보고 있다보면 감격스러울 지경이다. 이번에 그런 힘을 느낀 장면은 역시 포뇨가 파도 타고 소스케 쫓아가는 장면이겠지.

0123

이 포뇨 캐릭터가 맘에 들어서 핸드폰 줄이라도 살까 했는데 다 품절이다. 쳇. 그리고 엔화가 요즘 너무 비싸서 그런지 비싸기도 엄청 비싸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난 역시 이런 모습의 짐캐리가 좋아.


짐캐리를 좋아한다고 말하기에는 짐캐리 나온 영화를 너무 안챙겨본 면이 없지 않아 있지만, 그래도 난 짐캐리가 좋다. 특히 저런 코메디 연기 하는 짐캐리.
일본 같이 여행갔던 친구를 정말 오랜만에 만나서 본 영화인데 친구는 영화 속 짐캐리 캐릭터가 너무 짜증나고 싫댄다. 난 재밌고 좋았는데.
영화는 보는 내내 웃을 수 있을 정도로 웃기다. 특히 짐캐리가 강연회 간 게 최고 웃겼다. (예스! 예스! 노맨! 노맨!)
조금 가슴아팠던 건 마스크에서 보았던 그 팽팽한 짐캐리가 아니고 얼굴에 주름이 자글자글한 짐캐리라서. 하긴 마스크 나온 게 나 초등학교 때니 그럴만도 하지.

이렇게 성의없는 리뷰 마무리. 히히.